SNS음악대화방

카르페디엠(사라브라이트만)

이모르 2022. 1. 5. 21:04

 

친우로 부터 SNS로 허연행목사의 카르페디엠에 대한 영상을 받아 마침 몇년전 동우회에서 창경궁 갔다가 문명희 화가 가 언급한 생각이 나서 재 편집 해 보겠습니다

 

허연행목사의카르페디엠

 

창경궁을 웃음꽃 행복길회원5인이 원앙을 관찰하러 갔습니다 하지만 춘당지는 결빙되어 원앙은 없었습니다 창경궁은 슬픈 비화가 서린 곳 이기도합니다

 

문정전

창경궁 문정전인 휘령전 앞뜰에서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은 사건입니다세상에나 어떠한 일이던 아비가 자식을 뒤지에 가두어 물 한목음 주지 않고죽이다니 !!! 여기서 知止 문명희 화가가  시한수 합니다

 

 선인문/문명희

회화나무는 기억한다

구중궁궐의 새까맣게

썩은 전설 걸린

문정전 앞뜰 회화나무의

뼈속앓이 그날을

 

염천에 쇠죽 끓이는 일기가 타오른다

물 한 모금 마시지 못 한 여드레

뒤주 속의 창자 끊어지는

어린 세손의 애끓는 소리를 들었는지

하늘도 땅도 회화나무도 함묵했다

 

하늘을 가르고

나무를 가르는

발가벗겨지고

찢어지고

타버린

역사의 서슬을

 

삼백년

그날의 풍상을 닮은 회화나무는

아직도 굳게 선인문을 지키고 섰다

보지 못한 기억을 앞세운 채로

 

!!!! 예술은 개성입니다 그녀는 행동마다 기이한 전위 예술입니다 평보가 즉흥시를  듣고  한마디 합니다

평보

좋습니다 

하였더니 문화가는 즉답합니다

지지

시를 읽는 자 이미 시인입니다

 

선인문과 회화나무
궁에서 죽으,면 시체가 나갔던 선인문

그래서 뒤지에 죽은 사도세자의 죽음의 공포를 이야기 할 때 문화가는 말을 이어 갔습니다

 지지

로마시대의사형장에서  모멘토모리 카르페디엠" 했다지요이 죽음을 잊지 말라 오늘을 충실하게 보내라

메멘토 모리(Memento mori)"자신의 죽음을 기억하라" 또는 "너는 반드시 죽는다는 것을 기억하라", "네가 죽을 것을 기억하라" 는 뜻하는 라틴어 낱말입니다.카르페디엠 은 오늘을 잡아라 라는 말이지요 

 

사진출처/외국포털

평보

아!! 찾아보니 카르페디엠이 먼저 나온 말이고 모멘토모리 는 후에 나온 말이군요 모멘토 모리는  옛날 로마에서는 원정에서 승리를 거두고 개선하는 장군이 시가 행진을 할 때 노예를 시켜 행렬 뒤에서 큰소리로 외치게 했다고 합니다. "메멘토 모리!" [Memento Mori!] 라틴어로 '죽음을 기억하라'라는 뜻인데,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너무 우쭐대지 말라. 오늘은 개선 장군이지만, 너도 언젠가는 죽는다. 그러니 겸손하게 행동하라.' 이런 의미에서 생겨난 풍습이라고 합니다.

Stenvik, <Still Life: Allegory of Vanitas>, 1640, National Gallery, London.

스텐비크, <정물-바니타스의 알레고리>, 1640년, 런던 내셔널 갤러리 /사진출처 외국포털 

 

지지 

카르페디엠이나 모멘토 모리는 중세 미술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바니타스(Vanitas)"는 16-17세기의 네덜란드와 플랑드르 지역에서 정물화에 특히 관련있는 상징과 관련된 예의 한 종류로, 그 이외의 장소들과 다른 시기에서도 인기가 있었습니다. 특히 중세 유럽은 흑사병과 30년 전쟁이 휩쓸고간 역사적 시기와도 무관하지 않았습니다 예수의 십자가 밑에도 해골을 그려 넣었는데 아무리 튼튼하고 젊은 사람도 나이들면 병들고 죽게 마련이라는 것입니다 

 

 

지지

카르페디엠은 고대 로마 공화정 말기 시인 퀸투스 호라티우스 플쿠스 "현재를 잡아라 내일이란 말은 최소한만 믿어라" 라고 말한데서 시로 탄생했습니다

그 시의 전체적인 의미는 미래는 알 수없다는 것입니다 그의 시에는 다음과같은 명구도 있습니다

"하루 하루가 일년 중에 가장 좋은 최고의 날임을 당신의 마음속에 새겨 놓으세요"

"내일에 대한 가장 좋은 최고의 선택은 지금 오늘에 최선을 다하는것이다 "

 

 평보

!!! 그렇군요 누구든 죽음은 피할수 없는 숙명 매일 살아있는 현재가 중요한 것 아닙니까? 뒤지 속에서 또는 화재 현장에서 죽음을 기다리는 고통은 어떻겠습니까??이 죽음을 잊지 말라 오늘을 충실하게 보내라이말이 중요하게 들립니다

 

 

 

그때 춘곡이 이렇게 말합니다

춘곡

카르페디엠 이란 말 말고 우리 싯구로 이런 말은 어떠신지..

오오, 다만 네 확실한 오늘을 놓치지 말라.

오오, 사로라, 사로라! 오늘 밤! 너의 발간 횃불을,

발간 입술을, 눈동자를, 또한 너의 발간 눈물을…….

 

통명전

평보

!!! 오늘은 모두 시인이네요 그런데 이곳은 사도세자 뿐 아니죠 바로 통명전입니다 여기는 장희빈이 생활한 처소고!!! 창경궁 안쪽에 이르면 용마루가 없는 건물이 하나 보입니다. 바로 창경궁의 내전이자 왕실의 대비가 거주했던 통명전입니다. 명전은 사실 장희빈의 무서운 저주가 서린 공간입니다.

사극에서는 사약을 마시지 않으려 발악을 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참 지금 생각해도 애처러운 한이죠

영춘헌
집복혀헌

영춘헌과 집복헌

그리고 영춘헌 입니다 영춘헌은 통명전 일원 동쪽에 자리하고 있는 건물로, 바로 왼쪽에는 5칸짜리 서행각인 집복헌이 붙어있습니다. 이곳은 사도세자가 태어난 곳이자 그 아들 정조가 독서실겸 집무실로 왕이 있던 자리라고는 생각이 들지 않을 정도로 소박한 이곳은 정조가 등에 난 종기가 원인이 되어 49세에 영춘헌에서 승하하였는데, 진찰을 시작한 지 15일 만에 죽었다는 것에서 사람들은 독살 당했다 말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조선의 르네상스를 일궈낸 정조참 아까운 인물입니다

 

좌 영조 우 장조(사도세자)

사실 사록을 보면 권력에는 골육의 피나는 싸움입니다 왕자의난에서 보듯
그러나 숙종은 달랑 두아들 그러니까
장희빈의 아들 경종은 남인쪽이고
무수리 아들 영조는 노른이 만든거지요 그러나 영조는 탕평책 등으로 노른에게
편중하지 않고 정치를 잘해나갔는데 사도세자에게 정치를 맏겨 정치 수업을 시키던중 사도세자는 거대한 노른의 힘을 의식하지 않고 소른의 편에 서게됩니다 그게 원인입니다 노른의 끝없는 모함으로 결국 아들을 죽이는 비정의 아버지가 되는데 영조는 자신이 무수리의 아들이었기 즉위 되자 조제와 탕평책, 악형 폐지, 서적 간행 등 현군으로 백성을 편안케 하려 애썻으나 결국 탕평책은 노른의 힘에 퇴색되고 마는 슬픈 역사입니다

 

눈 덥힌 춘당지;

춘당지를 돌아 백송 앞에서 모두 기념 촬영하는데 지지님 께서 나무에 기대 섯습니다

 

평보

!!! 나무에 기대지 마세요!!! 보호수입니다

그러자 지지님이 말합니다 그녀는 항상 특별하고 기발합니다 

지지

수령 미달로 보호수가 아니옵니다  번데기는백송위에서 변태하여 오색나비의변신을 꿈꾸어봅니다

 

 

 

 

【MUSIC SKY】 Sarah Brightman / Carpe Diem (Duet with Mario Frangoul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