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단편소설)

김동인의감자(장사익의강남아리랑)

이모르 2020. 12. 31. 23:41

 

친우 춘곡은  김동인을 이렇게 표현했다

평양의 만석지기 집안에서 태어난 김동인은

경성을 올라올 때 기차를 전세 내어 왔다고 한다

지금으로 치면 비행기를 제주도 까지 전세 낸 것이나

다름없다는 것이다

 

그런그가 감자라는 최하층의 삶을 그린 것은 아이러니

하다는 것이다 .

동인문학상이 상징적으로 말해 주듯이 김동인은 우리나라

문단에 큰 비중을 찾이 한다.

그는 인형 조정술이라는 독특한 개성적인 기법을 말한다

작가와 작품 속 세계의 관계는 인형을 조정하는 인간과 조정당하는

인형의 관계라 여겼다

 

감자에 등장하는 복녀는 가난하지만 도덕적인 성품을 지닌 집안에서

자라났다 가난 때문에 돈에 팔려 시집을 가서 타락해가는 과정을

그린다

 

 

감자꽃

 

 

감자 전문

 

싸움, 간통, 살인, 도둑, 구걸, 징역, 이 세상의 모든 비극과 활극의 근원지인,

칠성문 밖 빈민굴로 오기 전까지는, 복녀의 부처는,(

사농공상의 제 이 위에 드는) 농민이었었다.

복녀는, 원래 가난은 하나마 정직한 농가에서 규칙 있게 자라난 처녀였었다.

이전 선비의 엄한 규율은 농민으로 떨어지자부터 없어졌다 하나,

그러나 어딘지는 모르지만 딴 농민보다는 좀 똑똑하고 엄한 가율이

그의 집에 그냥 남아 있었다. 그 가운데서 자라난 복녀는 물론 다른

집 처녀들같이 여름에는 벌거벗고 개울에서 멱감고, 바짓바람으로 동네를

돌아다니는 것을 예사로 알기는 알았지만, 그러나 그의 마음속에는 막연하나마

도덕이라는 것에 대한 저품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열 다섯 살 나는 해에 동네 홀아비에게 팔십 원에 팔려서

시집이라는 것을 갔다. 그의 새서방(영감이라는 편이 적당할까)이라는

사람은 그보다 이십 년이나 위로서, 원래 아버지의 시대에는

상당한 농민으로서 밭도 몇 마지기가 있었으나, 그의 대로

내려오면서는 하나 둘 줄기 시작하여서, 마지막에 복녀를 산 팔십

원이 그의 마지막 재산이었었다.

 

 

고구마 꽃

 

그는 극도로 게으른 사람이었었다. 동네 노인의 주선으로

작 밭깨나 얻어주면, 종자나 뿌려둔 뒤에는 후치질도 안하고 김도

안 매고 그냥 버려두었다가는, 가을에 가서는 되는 대로 거두어서

금년은 흉년이네하고 전주집에는 가져도 안가고 자기 혼자 먹어버리고 하였다.

그러니까 그는 한밭을 이태를 연하여 붙여본 일이 없었다. 이리하여

몇 해를 지내는 동안 그는 그 동네에서는 밭을 못 얻으리만큼

 인심과 신용을 잃고 말았다.

 

복녀가 시집을 온 뒤, 한 삼사 년은 장인의 덕으로 이렁저렁 지내갔으나,

이전 선비의 꼬리인 장인도 차차 사위를 밉게 보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처가에까지 신용을 잃게 되었다.

그들 부처는 여러 가지로 의논하다가 하릴없이

평양 성 안으로 막벌이로 들어왔다.

그러나 게으른 그에게는 막벌이나마 역시 되지 않았다.

하루 종일 지게를 지고 연광정에 가서 대동강만 내려다보고 있으니,

어찌 막벌이인들 될까. 한 서너 달 막벌이를 하다가,

들은 요행 어떤 집 막간(행랑)살이로 들어가게 되었다.

그러나 그 집에서도 얼마 안 하여 쫓겨나왔다. 복녀는 부지런히

주인 집 일을 보았지만, 남편의 게으름은 어찌할 수가 없었다.

매일 복녀는 눈에 칼을 세워가지고 남편을 채근하였지만,

그의 게으른 버릇은 개를 줄 수는 없었다.

 

벳섬 좀 치워달라우요.”

남 졸음 오는데, 님자 치우시관.”

내가 치우나요?”

이십 년이나 밥 처먹구 그걸 못 치워.”

에이구, 칵 죽구나 말디.”

이년, !”

이러한 싸움이 그치지 않다가, 마침내 그 집에서도 쫓겨나왔다.

이젠 어디로 가나? 그들은 하릴없이 칠성문 밖 빈민굴로 밀리어오게 되었다.

칠성문 밖을 한 부락으로 삼고 그곳에 모여 있는 모든 사람들의 정업은 거러지요,

부업으로는 도둑질과 '자기네끼리의' 매음, 그밖에 이 세상의

모든 무섭고 더러운 죄악이었었다. 복녀도 그 정업으로 나섰다.

그러나 열 아홉 살의 한창 좋은 나이의 여편네에게 누가 밥인들 잘 줄까.

젊은 거이 거랑은 왜?”

그런 소리를 들을 때마다 그는 여러 가지 말로, 남편이 병으로

죽어가거니 어쩌거니 핑계는 대었지만, 그런 핑계에는 단련된

평양 시민의 동정은 역시 살 수가 없었다. 그들은 이 칠성문

밖에서도 가장 가난한 사람 가운데 드는 편이었었다.

그 가운데서 잘 수입되는 사람은 하루에 오리짜리 돈 뿐으로

 일원 칠팔십 전의 현금을 쥐고 돌아오는 사람까지 있었다.

극단으로 나가서는 밤에 돈벌이 나갔던 사람은 그날 밤 사 백 여 원을 벌어

가지고 와서 그 근처에서 담배장사를 시작한 사람까지 있었다.

 

복녀는 열 아홉 살이었었다. 얼굴도 그만하면 빤빤하였다.

그 동네 여인들의 보통 하는 일을 본받아서, 그도 돈벌이

좀 잘하는 사람의 집에라도 간간 찾아가면, 매일 오륙십

전은 벌 수가 있었지만, 선비의 집안에서 자라난 그는 그런 일은 할 수가 없었다.

그들 부처는 역시 가난하게 지냈다. 굶는 일도 흔히 있었다.

기자묘 솔밭에 송충이가 끓었다. 그때, 평양 ''에서는 그 송충이를

잡는데(은혜를 베푸는 뜻으로) 칠성문 밖 빈민굴의 여인들을 인부로 쓰게 되었다

.

빈민굴 여인들은 모두 다 지원을 하였다. 그러나 뽑힌 것은 겨우 오십 명쯤이었었다.

복녀도 그 뽑힌 사람 가운데 한 사람이었었다.

복녀는 열심으로 송충이를 잡았다. 소나무에 사다리를 놓고 올라가서는,

송충이를 집게로 집어서 약물에 잡아넣고, 또 그렇게 하고,

의 통은 잠깐 사이에 차고 하였다. 하루에 삼십이

전 씩의 품삯이 그의 손에 들어왔다.

 

그러나 대엿새 하는 동안에 그는 이상한 현상을 하나 발견하였다.

그것은 다른 것이 아니라, 젊은 여인부 한 여나믄 사람은 언제나

송충이는 안 잡고, 아래서 지절거리며 웃고 날뛰기만 하고 있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그 놀고 있는 인부의 품삯은, 일하는 사람의

삯전보다 팔 전이나 더 많이 내어주는 것이다.

 

감독은 한 사람뿐이었는데 감독도 그들의 놀고 있는 것을 묵인할 뿐 아니라,

때때로는 자기까지 섞여서 놀고 있었다.

어떤 날 송충이를 잡다가 점심때가 되어서, 나무에서 내려와서

점심을 먹고 다시 올라가려 할 때에 감독이 그를 찾았다 -

 

복네! 얘 복네!”

왜 그릅네까?”

그는 약통과 집게를 놓고 뒤로 돌아섰다.

좀 오나라.”

그는 말없이 감독 앞에 갔다.

, , 데 뒤 좀 가보자.”

뭘 하례요?”

글쎄, 가야

가디요. - 형님.”

그는 돌아서면서 인부들 모여 있는 데로 고함쳤다.

형님두 갑세다가례.”

싫다 얘. 둘이서 재미나게 가는데, 내가 무슨 맛에 가갔니?”

복녀는 얼굴이 새빨갛게 되면서 감독에게로 돌아섰다.

가보자.”

감독은 저편으로 갔다. 복녀는 머리를 수그리고 따라갔다.

복네 갔구나.”

뒤에서 이러한 조롱 소리가 들렸다. 복녀의 숙인 얼굴은 더욱 발갛게 되었다.

그날부터 복녀도 '일 안하고 품삯 많이 받는 인부'의 한 사람으로 되었다.

복녀의 도덕관 내지 인생관은, 그때부터 변하였다.

 

그는 아직껏 딴 사내와 관계를 한다는 것을 생각하여본 일도 없었다.

그것은 사람의 일이 아니요, 짐승의 하는 짓쯤으로만 알고 있었다.

혹은 그런 일을 하면 탁 죽어지는지도 모를 일로 알았다.

 

그러나 이런 이상한 일이 어디 다시 있을까. 사람인

자기도 그런 일을 한 것을 보면, 그것은 결코

사람으로 못할 일이 아니었었다.

게다가 일 안하고도 돈 더 받고, 긴장된 유쾌가 있고, 빌어먹는 것보다 점잖고

일본말로 하자면 '삼 박자(拍子)' 같은 좋은 일은 이것뿐이었었다.

이것이야말로 삶의 비결이 아닐까. 뿐만 아니라, 이 일이 있은 뒤부터,

그는 처음으로 한 개 사람이 된 것 같은 자신까지 얻었다.

그 뒤부터는, 그의 얼굴에는 조금씩 분도 바르게 되었다.

일년이 지났다.

그의 처세의 비결은 더욱 더 순탄히 진척되었다. 그의 부처는

이제는 그리 궁하게 지내지는 않게 되었다.

그의 남편은 이것이 결국 좋은 일이라는 듯이 아랫목에 누워서

벌신벌신 웃고 있었다.

복녀의 얼굴은 더욱 이뻐졌다.

여보, 아즈바니. 오늘은 얼마나 벌었소?”

복녀는 돈 좀 많이 벌은 듯한 거지를 보면 이렇게 찾는다.

오늘은 많이 못 벌었쉐다.”

얼마?”

도무지 열 서너 냥.”

많이 벌었쉐다가레. 한 댓 냥 꿰주소고레.”

오늘은 내가

어쩌고 어쩌고 하면, 복녀는 곧 뛰어가서 그의 팔에 늘어진다.

나한테 들킨 댐에는 뀌구야 말아요.”

난 원 이 아즈마니 만나믄 야단이더라. 자 꿰주디 그대신 응? 알아있디?”

난 몰라요. 해해해해.”

모르믄, 안 줄 테야.”

글쎄, 알았대두 그른다.”

- 그의 성격은 이만큼까지 진보되었다.

가을이 되었다.

칠성문 밖 빈민굴의 여인들은 가을이 되면 칠성문 밖에 있는

중국인의 채마 밭에 감자(고구마)며 배추를 도둑질하러,

밤에 바구니를 가지고 간다. 복녀도 감잣개나 잘 도둑질하여 왔다.

어떤 날 밤, 그는 고구마를 한 바구니 잘 도둑질하여가지고,

이젠 돌아오려고 일어설 때에, 그의 뒤에 시꺼먼 그림자가 서서

그를 꽉 붙들었다. 보니, 그것은 그 밭의 주인인 중국인 왕 서방이었었다.

복녀는 말도 못하고 멀찐멀찐 발 아래만 내려다보고 있었다.

우리집에 가.”

왕 서방은 이렇게 말하였다.

가재믄 가디. , 것두 못 갈까.”

복녀는 엉덩이를 한번 홱 두른 뒤에, 머리를 젖기고 바구니를

저으면서 왕 서방을 따라갔다.

한 시간쯤 뒤에 그는 왕 서방의 집에서 나왔다. 그가 밭고랑에서 길로

들어서려 할 때에, 문득 뒤에서 누가 그를 찾았다.

복네 아니야?”

복녀는 홱 돌아서보았다. 거기는 자기 곁집 여편네가 바구니를 끼고,

어두운 밭고랑을 더듬더듬 나오고 있었다.

형님이댔쉐까? 형님두 들어갔댔쉐까?”

님자두 들어갔댔나?”

형님은 뉘 집에?”

? () 서방네 집에. 님자는?”

난 왕 서방네. 형님 얼마 받았소?”

눅 서방네 그 깍쟁이 놈, 배추 세 페기.”

난 삼원 받았디.”

복녀는 자랑스러운 듯이 대답하였다.

십 분쯤 뒤에 그는 자기 남편과, 그 앞에 돈 삼원을 내어놓은 뒤에,

아까 그 왕 서방의 이야기를 하면서 웃고 있었다.

그 뒤부터 왕 서방은 무시로 복녀를 찾아왔다.

한참 왕 서방이 눈만 멀찐멀찐 앉아 있으면, 복녀의 남편은 눈치를

채고 밖으로 나간다. 왕 서방이 돌아간 뒤에는 그들 부처는,

일원 혹은 이원을 가운데 놓고 기뻐하고 하였다.

복녀는 차차 동네 거지들한테 애교를 파는 것을 중지하였다.

왕 서방이 분주하여 못 올 때가 있으면 복녀는 스스로 왕 서방의

집까지 찾아갈 때도 있었다.

복녀의 부처는 이제 이 빈민굴의 한 부자였었다.

그 겨울도 가고 봄이 이르렀다.

그때 왕 서방은 돈 백원으로 어떤 처녀를 하나 마누라로 사오게 되었다.

!”

복녀는 다만 코웃음만 쳤다.

"복녀, 강짜하갔구만.”

동네 여편네들이 이런 말을 하면, 복녀는 흥 하고 코웃음을 웃고 하였다.

내가 강짜를 해? 그는 늘 힘있게 부인하고 하였다. 그러나 그의 마음에

생기는 검은 그림자는 어찌할 수가 없었다.

이놈 왕 서방. 네 두고 보자.”

왕 서방이 색시를 데려오는 날이 가까왔다. 왕 서방은 아직껏 자랑하던

길다란 머리를 깎았다. 동시에 그것은 새색시의 의견이라는 소문이 퍼졌다.

!”

복녀는 역시 코웃음만 쳤다.

마침내 색시가 오는 날이 이르렀다. 칠보단장에 사인교를 탄 색시가,

칠성문 밖 채마 밭 가운데 있는 왕 서방의 집에 이르렀다.

밤이 깊도록, 왕 서방의 집에는 중국인들이 모여서 별한 악기를 뜯으며

별한 곡조로 노래하며 야단하였다. 복녀는 집 모퉁이에 숨어 서서

눈에 살기를 띠고 방안의 동정을 듣고 있었다.

다른 중국인들은 새벽 두시쯤 하여 돌아가는 것을 보면서 복녀는

왕 서방의 집 안에 들어갔다. 복녀의 얼굴에는 분이 하얗게 발리워 있었다.


신랑 신부는 놀라서 그를 쳐다보았다. 그것을 무서운 눈으로 흘겨보면서,

그는 왕 서방에게 가서 팔을 잡고 늘어졌다. 그의 입에서는 이상한 웃음이 흘렀다.

, 우리집으로 가요.”

왕 서방은 아무 말도 못하였다. 눈만 정처 없이 두룩두룩 하였다.

복녀는 다시 한번 왕 서방을 흔들었다 -

, 어서.”

우리, 오늘 밤 일이 있어 못 가.”

일은 밤중에 무슨 일.”

그래두, 우리 일이

복녀의 입에 아직껏 떠돌던 이상한 웃음은 문득 없어졌다.

이까짓 것.”

그는 발을 들어서 치장한 신부의 머리를 찼다.

, 가자우, 가자우.”

왕 서방은 와들와들 떨었다. 왕 서방은 복녀의 손을 뿌리쳤다.

복녀는 쓰러졌다. 그러나 곧 다시 일어섰다. 그가 다시 일어설 때는,

그의 손에는 얼른얼른 하는 낫이 한 자루 들리어 있었다.

이 되놈, 죽에라. 이놈, 나 때렸디! 이놈아, 아이구 사람 죽이누나.”

그는 목을 놓고 처울면서 낫을 휘둘렀다. 칠성문 밖 외따른 밭 가운데

홀로 서 있는왕 서방의 집에서는 일장의 활극이 일어났다. 그러나

그 활극도 곧 잠잠하게 되었다.

 복녀의 손에 들리어 있던 낫은 어느덧 왕 서방의 손으로 넘어가고,

복녀는 목으로 피를 쏟으면서 그 자리에 고꾸라져 있었다.

복녀의 송장은 사흘이 지나도록 무덤으로 못 갔다. 왕 서방은 몇 번을

복녀의 남편을 찾아갔다.

복녀의 남편도 때때로 왕 서방을 찾아갔다. 둘의 사이에는

무슨 교섭하는 일이 있었다. 사흘이 지났다.

밤중 복녀의 시체는 왕 서방의 집에서 남편의 집으로 옮겼다.

그리고 시체에는 세 사람이 둘러앉았다. 한 사람은 복녀의 남편,

한 사람은 왕 서방, 또 한 사람은 어떤 한방 의사 -

왕 서방은 말없이 돈주머니를 꺼내어, 십 원짜리 지폐 석 장을

복녀의 남편에게 주었다. 한방 의사의 손에도 십 원짜리 두 장이 갔다.

이튿날, 복녀는 뇌일혈로 죽었다는 한방의의 진단으로 공동묘지로 가져갔다.

 

 

 

 

 

 

 

작사 : 아티스트:장사익
작곡 : 아티스트:장사익
편곡 : 가사입력:박경호

아리랑/장사익
(((사하라영상카페)))

 

1,))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난다))


정,이월 다 가고 삼월이라네
강남갔던 제비가 돌아오면은
이땅에도 또 다시 봄~~이 온다~~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날 넘겨줘요

*** ( 반 복 ) ***
정,이월 다 가고 삼월이라네
강남갔던 제비가 돌아오면은
이땅에도 또 다시 봄~~이 온다~~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날 넘겨줘요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난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난다))


정,이월 다 가고 삼월이라네
강남갔던 제비가 돌아오면은
이땅에도 또 다시 봄~~이 온다~~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날 넘겨줘요

*** ( 반 복 )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난다     

'문학(단편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의날개(허영란의날개)  (0) 2020.12.31
실화소설 서약(유레스미엎)  (0) 2020.12.31
김유정의봄봄  (0) 2020.12.31
김유정고통속의해학  (0) 2020.12.31
김유정과 동백꽃(보리밭)  (0) 2020.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