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詩

까마귀 눈비맞아 (박팽년)

이모르 2020. 12. 29. 19:56

까마귀 눈비 맞아 희는듯 검노메라

야광 명월이 밤인들 어두우랴

님향한 일편단심이야 고칠 줄이 이시랴

 

 

박팽년 朴彭年(1417-1456).자는 자는 인수(仁叟) 호는 취금헌 醉琴軒

조선조 세종때의 집현전 학사로서 훈민정음을 창제에도 참여하였다

세조가 즉위하자 경희루 연못에 뛰어들어 목숨을 끊으려는 것을 섬삼문이

말렸다고 하며 세조밑에서 충청도 관찰사 로 있으면서 조정에 올리는 글에

臣자를 쓰지 않았다는 이야기는 유명하다.

 

 

 

박팽년은 세종시대를 대표하는 학자이다.

 

 

 

성삼문(成三問)과 더불어 일찍이

 

 

 

집현전(集賢殿)에 발탁되어 세종(世宗)임금에게 총애를 받았다. 

 

 

 

박팽년의 나이 17세인 1432년(세종 14)에 생원(生員)이 되었고,

 

 

 

 

그년 뒤에 문과 

 

 

 

 

 

급제하였으며, 1447년(세종 29)에는 중시(重試)에 합격하여

 

 

 

 

호당(湖當 ... 학문이 뛰어난 사람에게 부여한 사가독서.賜暇讀書)에

 

 

 

 

선발되었다. 사가독서를 받은 박팽년은 삼각산 진관사(津寬寺)에서

 

 

 

 

학문을 닦아, 문과 중시(文科 重試)에 급제하여 단종 원년에

 

 

 

 

 

 

우승지(右承旨)를 거쳐 형조참판이 되었다.    

 

死六臣의 한사람이다

 


 

 

 

 

 

 

 

본바탕이 검은 까마귀는 흰눈비맞아 겉이 잠깐희게 보였다가도 곧다시

검어지는 법이다(불의의 정체는 결국 드러나게 마련이다)

그러나 밝은 달이나 밤에도 빛을 내는 참구술은 밤이되었다 해서 어두어

지거나빛을 잃거나 변절되지 않는다.

 

 

자신의 단종 임금에 대한 충성심이 아무리 어려운 고비를 당하더라도

결코 변하는 일이 있을수 있겠는가?

 

 

세조가 김질을 옥중에 보내어 술을 권하면서 그의 마음을 떠보았을때

지은이는 이시조로서 대답 하였다 한다..

 

약관弱冠 에도 차지못하는 나이에 謁聖文科(왕이 성균관 문묘의 공자신위에

참배한후 보이던 문과)에 급제하여 成三問등과 더불어 집현전 학사로서 세종임금의

총애를 한껏 받으면서 사가독서(유능한 절은 문신들을 뽑아 휴가를 주어 讀書당에서

공부하게한일)한 박팽년은 우수하고 유능한 학자였다

 

어린 단종을 잘 모시 라는 세종임금의 유훈을 끝까지 관철하여 사육신의

한사람이된 그의 끗끗한 기개는 오늘날에 있어서도 귀감이 되기에 충분하다.

 

 

당시의 역사적 상황이 이한수의 시조에 잘 집약되어 문학적 향기마저 풍기고 있는

것은 결코우연한 사실이 아니리라

 

 

 

 

 

지존(至尊)의 위치에 잇는 세조를 흉측스러운 “까마귀”에다 비유하는 동시에

자기가 목숨을 바처 옹호하려는 단종이야 말로 만고불변(萬古不變)의 정통성 을 지닌

떳떳한 임금임을 밤에도 암흑 속에서 빛나는 “야광명월”에 비유한 용기도 보통이

아니려니와 그표현상의 재치 또한 높이 살 만하다.

 

김종오편저 옛시조감상에서 발췌

 

 

 

 

 

 

박팽년(1417~1456)이 일세를 풍미하던

안평대군 이용(李瑢, 1418~1453)의

글씨를 얻으려 쓴 시이다.

당시에는 송설체가 유행하였다.

 

 

 

 

松雪風流又一時송설풍류우일시 송설의 풍류 일시를 풍미하시네.

美質揷花無盡態미질삽화무진태 아름다운 바탕에 꽃 꽂아 놓은 듯 무한한 자태

神光射日更多奇신광사일경다기 신묘한 빛에 햇빛 더하듯 더욱 기묘하다.

久欽妙手人間少구흠묘수인간소 오래도록 세상에 드문 묘법 흠모하였더니

果見高名天下知과견고명천하지 과연 천하의 고명을 알겠네.

我有鵝溪一匹絹아유아계일필견 견 제게 아계 비단 한 필 있사오니

濡毫莫惜掃淋漓유호막석소임리 붓 적시어 왕성한 필력 아끼시지 마시길 바라나이다.

 

 

사육신묘역의 박팽년의 묘

 

 

세조가 박팽년의 아내 옥금을 정인지의

종으로 하사하였다

 

정인지는 집현전 대재학으로 한글 창제에

참여하였으나 세조의 편에섯다.

 

정인지의 장남 정현조는 세조의 사위였고,

손자 정승충은 세조의 서자 덕원군의 사위가 되어

이중으로 사돈관계를 형성하였다. 고손녀

하동부대부인은 선조의 생모가 된다.

또한 중종의 후궁 희빈 홍씨의 외증조부가 되기도 하다.

권우(權遇)의 문인이다.

 

'古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벼슬을저마다하면 김창업  (0) 2020.12.30
사육신의詩(사칠신)  (0) 2020.12.29
간밤에 부던 바람에 유응부  (0) 2020.12.29
황조가黃鳥歌  (0) 2020.12.27
방안에 헛는촛불 이개  (0) 2020.12.27